Interview: Anya Liftig (Roots in Kentucky USA) NSFW

Interview: Anya Liftig (Roots in Kentucky USA) NSFW

 

Aliftig chickensmallKentucky is known for a lot of things, but, let’s face it, contemporary art isn’t really one of them.  That is rapidly changing.  I will introduce you to artists with Kentucky roots who are dedicated to performance and are helping to shape the dialogue far beyond the borders of the Bluegrass state.

Meet Anya Liftig (say hey y’all).   Anya’s work has been featured at TATE Modern, Highways Performance Space, Exit Art, [performance space] london, Performmer Stammtisch Berlin, Dimanche Rouge Paris, Roves and Roams and OVADA Oxford UK, Chashama, Month of Performance Art Berlin, Eyedrum, Grace Exhibition Space, Atlanta Contemporary Art Center, Galapagos, The Flea, Performance Art Institute–San Francisco, Chez Bushwick, Socrates Sculpture Park, Yale University, Center for Performance Research, Lock Up Performance Art London, Debrillator Gallery, INCUBATEChicago, University of Wisconsin, University of Chicago, Vaudeville Park, Mess Hall, Joyce Soho and many other venues.

Her work, “The Anxiety of Influence,” was an intervention into Marina Abramovic’s “The Artist is Present” retrospective at MOMA. Liftig dressed as the elder artist and sat across from her all day.Her work has been published and written about in The New York Times Magazine, Bomb, The Wall Street Journal, Vogue Italia, Marie Claire Italia, Heeb, Public Culture, Art Papers, X-tra, ArtNews, The L Magazine, The Other Journal, Jewcy, Mix Magazine, Katalog, Next Magazine, Now and Then, Stay Thirsty, New York Magazine, Gothamist, Jezebel, Animal New York, I Love You, Art Animal, Hyperallergic, Burnaway and many others.

She is a graduate of Yale University and Georgia State University and has received grant and residency support from the MacDowell Colony, The Field, Vermont Studio Center, University of Antioquia, Casa Tres Patios-Medellin, Colombia, and Flux Projects, Atlanta.

AliftigLobstersmall

Find out more about Anya – www.anyaliftig.com

TE: A very infamous and famous performance artist friend always says that there is a fine line between untreated mental illness and great performance art.  What do you think about that?
AL: There is a reason why mental illness is fascinating. Abnormal Psychology is always one of the most popular courses in universities around the country. Often the mentally ill inhabit subjective worlds of their own construction. The best performance art also involves agitating alternate realities and possibilities.

TE: Everything we taste, touch, see or experience changes a piece of us.  What influence has Kentucky had on your art?
AL: As a kid, I spent the school year in suburban Connecticut and my summers with my extended family in the mountains of East Kentucky. I had to learn how to reconcile the sometimes strange and stark differences between these regions. Kentucky is the place where I first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food and tradition in my life. My Mamaw made everything from scratch and mealtimes, especially breakfast, were a very special ritual. I also spent time with all sorts of animals during the summers.  Watching beloved pets give birth to litters of puppies and kittens was my first exposure to the birds and the bees.  A love of animals was central to the relationships I built with my cousins and my younger sister.  Today my work draws heavily on these two early influences in my life.

TE:  For you, is performance more sacred or secular? Why?
AL: Performance is a way to make the secular sacred. It can elevate the mundane.

TE:  What, if any, is the main differentiating factor that defines a work as “performance art” versus “theatre”?  Or, do you believe that it is a distinction without meaning?
AL: I really am not interested in that distinction. I am more interested in the juncture between modern dance and performance art. Frequently, I want to just call what I do “uncoordinated choreography” and call my pieces scatterbrained dance. I am curious about how that shift in distinction would change my artistic life. One practical factor is that there is much more funding for theater and dance than for performance art. Which is totally foolish.

TE: What are you working on right now?
AL: Right now I am heading to the MacDowell Colony in New Hampshire for a month-long fellowship to make some new work. I am planning on continuing my exploration of interspecies communication and I am especially excited to work with the emotions of plants.

 

http://contemporaryperformance.com/2013/02/06/interview-anya-liftig-roots-in-kentucky-usa-nsfw/
Tate Modern Unilever Series – Richard Tuttle: I Don’t Know Or The Weave of Textile Language.

Tate Modern Unilever Series – Richard Tuttle: I Don’t Know Or The Weave of Textile Language.

Richard Tuttle: I Don’t Know Or The Weave of Textile Language.
Tate Modern: Exhibition
14 October 2014 – 6 April 2015

Turbine Hall

Tate Modern’s Turbine Hall has played host to some of the world’s most striking and memorable works of contemporary art. Now, this vast space welcomes the largest work ever created by renowned American sculptor Richard Tuttle (b 1941).

Entitled I Don’t Know Or The Weave of Textile Language., this newly commissioned sculpture combines vast sways of fabrics designed by the artist from both man-made and natural fibres in three bold and brilliant colours.

The commission is part of a wider survey of the artist taking place in London this autumn and comprising a major exhibition at the Whitechapel Gallery surveying five decades of Tuttle’s career and a sumptuous new publication rooted in the artist’s own collection of historic and contemporary textiles.

Textile material provided by Garden Silks Mills Ltd

Jim Leaver, Project Manager 

Organised by Tate Modern in association with the Whitechapel Gallery

Tate Modern Unilever Series – Tacita Dean: Film

Tate Modern Unilever Series – Tacita Dean: Film

Tate Modern Unilever Series

 

Tacita Dean: Film

 

테이트 모던 유니레버 시리즈

타시타 딘: 필름

 

|2011.10.11 – 2012.3.11 |

 


Tacita Dean
FILM, 2011
Courtesy the artist, Frith Street Gallery,
London and Marian Goodman Gallery, New York/Paris.
Photo: Lucy Dawkins

 

해마다 테이트 모던의 터빈홀 Turbine Hall 에서는 유니레버 시리즈의 일환으로 기발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작품들이 설치된다. 발전소를 개조해 만든 갤러리 공간인 만큼 천정 높이만도7층건물에 육박하는 거대하고 웅장한 공간의 터빈홀은 타 갤러리에서는 엄두조차 낼수없는 막대한 크기의 대형작품 설치가 가능하다. 유니레버사의 후원으로2000년부터 진행된 유니레버 시리즈는 루이스 부르조아의 작품을 시작으로 울라퍼 엘리아슨의 인공태양,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화이트박스로 만든 둑, 카스텐 홀러의 대형 미끄럼틀 그리고 최근 아이 웨이웨이의 100만개의 세라믹 해바라기씨 등이 설치되었으며 2천6백만명의 방문객을 기록한 대중적 관심이 집중되는 전시이다.


Tacita Dean
FILM, 2011
Courtesy the artist, Frith Street Gallery,
London and Marian Goodman Gallery, New York/Paris.
Photo: Lucy Dawkins

 

올해 터빈홀의12번째 주인공은 작가 타시타 딘 Tacita Dean 의 작품,‘필름, FILM’이다. 칠흙같이 어둡고 고요한 터빈홀 끝자락에 서있는, 거대비석을 연상시키는 13미터 높이의 대형 판넬에는 11분동안 무음으로 제작된 35mm 필름 프로젝트가 조용히 상영중이다. 유니레버 시리즈 이래로 처음 시도되는 무빙 이미지 Moving Image이며, 작가는 아날로그 필름제작의 거장으로서 아날로그, 광화학,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논non-디지털 작품인‘필름’을 제작하여 디지탈시대에 사라져가는 아날로그 필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시네마스코프(초대형 화면으로 영화를 상영하는 한 방법) 렌즈 90º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영화스크린의 일반적인 풍경화 포맷을 거꾸로 뒤집어 그자체로서 수직으로 세워진 건축물이 되어 터빈홀의 공간안에 조화를 이룬다.

 
Tacita Dean
FILM, 2011
Courtesy the artist, Frith Street Gallery,
London and Marian Goodman Gallery, New York/Paris.
Photo: Lucy Dawkins

 

건축적 요소가 가미된 작품,‘필름’은 흑백과 컬러이미지로 수작업된 몽타주 이미지와 자연풍경을 담은 서사시로서 초현실주의적이며 시적인 리듬을 가지고 있다. 작가의 이전 작품들에 자주 등장하여 친숙한 번개, 나무, 바다경치 이미지들은 커다란 컬러판넬, 그리고 격자무늬 구조물과 함께 병치되며, 화면에는 몬드리안의  회화, 프랑스 시인인 르네 도우말René Daumal의 소설 마운트 아날로그Mount Analogue, 그리고 파라마운트 스튜디오 로고등이 등장한다. 여러개의 이미지가 겹쳐 투영되는 몽타주는 촬영중 의도적으로 제작된 것들이며 작가가 직접 편집하여 친밀감을 환기시킨다.


Tacita Dean
FILM, 2011
Courtesy the artist, Frith Street Gallery,
London and Marian Goodman Gallery, New York/Paris.
Photo: Lucy Dawkins

 

작가 타시타 딘은 필름작품으로 잘 알려진 영국작가이나 베를린에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필름들은 통상적인 영화의 스토리텔링을 다루기보다는 스쳐지나가는 자연광이나 미세한 움직임을 포착하는 방식의 섬세한 묘사와 초상화로 읽혀진다.

일생동안 필름작업을 해온 그녀에게 필름은 매우 중요한 작품재료로서‘화가가 물감이 필요하듯, 나는 필름이 필요하다’라고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 디지탈 테크놀로지가 표준화 되어가고 광화학 실험실들이 폐쇠됨에 따라 필름의 유효성과 접근성이 쇠퇴되는 것을 우려한 작가는 이번 터빈홀 프로젝트와 출간된 책을 통해 필름이 처해진 존폐의 위험성과 이후 우리 문화와 미래에 가져올 손실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유니레버 시리즈의 타시타 딘,‘필름’전은 테이트모던 갤러리의 큐레이터, 니콜라스 컬리난Nicholas Cullinan에 의해 큐레이팅 되었으며, 웹싸이트 http://tacitadean.tate.org.uk에서 필름 이미지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유니레버사의 공약인,‘고무적인, 생각을 자극하는 예술’을 반영하고자 2009년부터 시작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터빈 제네레이션, http://turbinegeneration.tate.org.uk은 현재 전세계41개국의 학교들이 참여하고 있다.

김수근의 ‘공간 사옥’, 현대미술 뮤지엄으로 탈바꿈

김수근의 ‘공간 사옥’, 현대미술 뮤지엄으로 탈바꿈

00511994701_20140822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 김수근이 1977년 완성한 ‘공간 사옥’이 21일 현대미술 전시 공간인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김창일 아라리오 그룹 회장이 뮤지엄 2층에서 자신의 컬랙션 100여점을 선보이는 개관 전시회와 건물 매입 및 개관 작업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종근 기자root2@hani.co.kr

[문화‘랑’] 문화공간, 그곳
(24) 서울 종로 율곡로 ‘아라리오 뮤지엄…’

9개월 개조 공사 뒤 첫 공개
좁은 계단과 무수한 방들
모두 전시 공간으로 변화
김수근 공들인 건물 핵심 유지
김창일 회장 “두렵고 설렌다”

서울 종로구 율곡로 83,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 창덕궁과 현대그룹 사옥 사이, 아담한 한옥을 끌어 앉은 채 담쟁이 덩굴에 뒤덮힌 5층짜리 검정색 벽돌집은 지난 아홉달 동안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천재 건축가 김수근(1931~86)이 지난 1971년 착공해 77년 완성한 ‘공간 사옥’. 완공 이후 폐쇄적인 느낌의 겉모습과 달리 내부에 한옥의 막힘없는 공간 연결 방식을 도입해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을 현대건축으로 되살렸다는 찬사와 함께 우리 건축의 상징적 존재가 됐다. 쓰임새도 남달랐다. 공간건축사무소, 월간지 <공간> 편집실, 화랑 등이 입주해 건축가뿐 아니라 문화인들의 사랑방 구실을 했다. 특히 소극장 ‘공간사랑’은 공옥진의 ‘병신춤’, 김덕수 사물놀이패의 사물놀이 등을 소개하며 문화운동의 발원지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제 국내 굴지의 갤러리 소유의 전시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지난해 11월 공간사의 부도로 사옥이 경매 위기에 처하자, 미술품 컬렉터이자 사업가인 아라리오 그룹 김창일 회장이 150억원에 사들여, 자신이 35년 동안 수집한 현대미술품을 전시하는 뮤지엄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00511993901_20140822
미로같은 뮤지엄 내부 계단.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내가 이 건물을 사들였을 때 사람들은 이 모든 걸 내가 꾸민 음모가 아니냐고 의심했다. 하지만 나는 버림받은 김수근의 작품을 아트를 통해 살려보자고 생각했고, 건축물 보존을 원칙으로 아홉달 동안 (개관)작업을 했다. 하지만 여전히 두려움과 설렘이 있다. 김수근의 건축물과 내가 평생 모은 예술품을 함께 알려달라.” 위대한 건축가의 유산을 150억원에도 사들이지 않는 우리 현실에 김수근이 버림받았다 생각해 자신이 건물을 구입했지만, 건축가와 문화인들 사이에 일종의 성소와 같은 이 공간을 훼손할 것이라는 우려가 여전하다는 것을 의식한 듯 그는 이렇게 말했다.
실제 건축가와 문화인들은 지난해 말 경매 위기에 처한 공간사옥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공공기관이 매입해 건축박물관으로 전환할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결국 올해 2월27일 등록문화제 586호로 지정됐다. 원칙적으로 50년 이상된 건물이 등록문화재 선정 대상이지만, 건축·문화적 가치를 고려해 보존해야 한다는 여론에 손을 든 것이다.
그러나 소유권은 이미 아라리오 그룹 김 회장에게 넘어간 상태였다. 김 회장은 공간사옥을 훼손하지 않고, 김수근의 작업실을 보존한다고 거듭 약속했다. 하지만 공간 사옥을 아끼는 이들은 여전히 의구심을 거두지 못했었다.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로 이름을 바꿔 21일 언론에 처음 내부를 공개한 공간 사옥에선 뮤지엄 개관전, ‘REALLY?’가 열렸다. 김 회장의 컬렉션 3700여점 가운데 43명 작가의 작품 100여점을 전시한 것이다.
뮤지엄으로 탈바꿈한 공간 사옥은 1층 외부 중앙홀에 티켓 창구가 설치되고, 뮤지엄 샵이 배치되는 등 일부 변화가 있었다. 또 내부 전시 공간 확보를 위해 일부 가설물과 유리 칸막이가 철거됐다. 5층까지 오르는 비좁은 계단 등에는 철제 안전 막도 설치됐다.
하지만 김수근이 7년동안 부수고 다시 짓기를 거듭한 끝에 완성한 건물의 핵심은 대부분 그대로 유지됐다. 무작정 높은 건물을 지어 올리던 70년대, ‘인간 척도’(humam scale)와 ‘공생’을 중시한 김수근은 한 사람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낮고 좁은 계단과 224cm 높이의 낮은 천장을 가진 크고 작은 방들을 중첩시켜 푸근함과 아늑함을 제공했다.

00511994001_20140822
담장이 덩굴에 뒤덮힌 외부 전경.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붉은 색 벽돌을 그대로 드러낸 채 미로처럼 퍼져있는 이 좁은 계단과 무수한 방들은 모두 전시 공간으로 변화됐다. 몸을 움츠린 채 계단을 오르다보면 김한나, 크리스티안 마클레이, 앤디 워홀 등의 작품들을 마주할 수 있다. 내부 주차창으로 쓰인 공간에는 브론즈로 람보르기니 차량의 모형을 만든 뒤 주황색 아크릴 물감을 두껍게 칠한 2톤 무게의 <더 스컬프쳐 Ⅱ>(권오상 작)가 전시됐다. 애초 용도가 주차창이었다는 걸 인식시키려는 의도다.
김수근은 또 2층부터 4층까지 중앙이 탁 트인 공간을 중심으로 층간 구분이 다소 모호한 방들을 배치해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을 자아냈다. 이 모든 방과 공간, 심지어 화장실도 예술작품으로 가득 채워졌다.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 백남준의 , <노매드>, <히드라 부다>를 비롯해 중첩된 방마다 바바라 크루거, 신디 셔먼 등 국내외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배치했다.
특히 현대그룹 사옥과 마주한 건물면 2층에서 1층으로 내려오는 계단 모서리 공간에 설치된 영국 현대미술가 마크 퀸의 작품 <셀프>가 눈길을 끈다. 작가 자신의 두상을 만들고 그 안에 자신의 피 4.5리터를 채워 넣은 일종의 자화상이다. 냉동 장비가 구비된 특수 환경에서만 유지되는 작품의 특성을 고려해 전시 공간은 영하 23~24℃로 맞춰졌고, 전원 차단에 대비해 별도의 냉동고까지 놓여있어 좀 괴기스럽게 보일 수도 있다. 김 회장은 “김수근의 천재성을 느끼게 하기 위해 이 작품을 설치했다”고 말했다.
김수근이 한 때 살림집으로 썼던 것으로 알려진 5층은 빛 바랜 비닐 장판과 곰팡이 슨 벽지까지도 그대로 남겼다. 그리고 개빈 터크의 왁스 전신상인 <또 하나나의 부랑> 등의 작품을 배치했다.
주연화 아라리오 갤러리 총괄디렉터는 “기존 사무실의 집기를 치우고, 누수를 막는 공사와 동선 확보를 위해 유리벽을 제거했을 뿐, 책꽂이, 천장의의 페인트칠은 물론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콘센트까지도 그대로 살렸다”며 “건물은 거의 원형 그대로”라고 말했다. 천재 건축가 김수근의 채취가 묻어있는 미로 같은 70년대 건물, 그 안에서 관람객들은 과연 현대미술의 작은 오솔길을 마주할까, 아니면 어색함을 경험할까. 9월1일부터 일반공개가 시작된다.

신승근 기자skshin@hani.co.kr

(from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652185.html)

 

만지는 기술 – MIT

만지는 기술 – MIT

세상에 인터넷 혁명이 일어나고, 모든 것을 디지털로 전환 할 수 있을 것 같은 환상에 사로 잡힌 이후로, 한동안의 기술발전의 방향은 어떻게 아나로그를 디지털로 작고 빠르고 편하게 전환할 수 있는 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가 스케치업으로 올린 건물안에서 자고, 구글에서 찾은 이미지를 먹을 수 없는 현실을 보면, 디지털은 아나로그의 보관이나 전달방법으로, 혹은 더 나아가 좀더 빠르고 간편하게 생각을 전하고 확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해되고 이용되어야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이유는 여전히 디지털은 우리의 오감중에 시각과 청각만을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각, 후각 그리고 촉각의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물론 세상이 좀더 발전하면, 사무실에 앉아 파리 뒷골목 빵집의 냄세를 맡고, 집 소파에서 유럽 어느 시골 와이너리의 와인을 구입하기 전에 시음을 하고, 구글에서 찾아낸 근육질 남성의 식스팩을 더듬는 날이 오지 말란 법은 없으나… 시각 청각 처럼 쉽게 만족시키기는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다만 MIT의 천재들이 아래 동영상에서, 내 손의 움직임을 디지털로 전환하여 온라인을 통해 저 반대편에 물리적인 운동을 전하는 방법과 그 활용 사례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말하자면 서울 간삼사무실에서 뉴욕에 있는 간삼 지사의 사람들과 회의를 하는데, 서울에 있는 사람들이 뉴욕에 있는 매스 스터디용 스티로 폼을 직접 손으로 이리저리 움직일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영화에서처럼 손에 요란한 장갑을 끼지 않고, 그냥 맨손으로 말입니다.

더 매력적인 건, 말 한마디 없이 자신을의 아이디어를 모두 설명하는, 잘생긴 MIT 천재들을 보는 맛입니다.

 

tangible 미국·영국 [|tӕndƷəbl]

1. 분명히 실재하는, 유형(有形)의   2. 만질 수 있는

 

 

그래도 잠은 집에서 잘 수 밖에 없겠지요^^ 촉감이라고 하기에는 아직은 너무 투박하네요^^

3D Projection Mapping
해분 [ 海盆, ocean basin, sea basin ]

해분 [ 海盆, ocean basin, sea basin ]

지구과학사전

해저지형의 일종으로 원형 또는 정방형에 가까운 평면형을 나타내는 해저의 요지(凹地), 분지(盆地)를 말하며 해저분지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북대서양 해분, 북아메리카 해분, 중앙 인도양 해분, 동해 해분 등이 있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에서는 중앙 해령과 대륙 연변부의 사이에 있는 수심 5000 m 이상의 심해저가 해분이라 불린다.

이들의 해분저에는 심해 평원, 심해 해구, 해산(海山), 해산군 및 해팽(海膨)등의 지형이 발달한다. 해저의 지자기 이상과 심해 굴삭의 결과에 의하면, 2000만 년 전 해저의 수심은 약 4000 m, 5000만 년 전의 수심은 약 5000 m, 1억 년 전의 수심은 약 6000 m로서, 오랜 연대의 해저 기반을 이룬 해저일수록 수심이 깊게 나타난다. 북서 태평양 해분 등은 수심이 깊고 오래된 해분의 전형적인 보기이다. 동해, 필리핀해 등 도호와 대륙 사이에 둘러싸인 연해도 크고 작은 여러 가지의 해분이 분포하는데, 그들의 형성 연대는 북서태평양 해분 등보다는 오래되지 않았고 수심도 깊지 않다.

(지구과학사전, 2009.8.30, 북스힐)

대양저의 기저부에 있는 광대한 분지상의 지형으로 해저지형 중의 하나이다. 주위가 호상열도나 해령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수심 3,000~5,000m에 위치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지형이다. 태평양에는 북서태평양 해분, 멜라네시아 해분, 남서태평양 해분, 산호해 해분이 있고, 인도양에는 인도양 중앙해분, 마다가스카르 해분, 서오스트레일리아 해분이 있으며 대서양에는 대서양 중앙해령의 양편에 수많은 해분이 있다. 해분저(海盆底)의 퇴적물 두께는 얇고, 지각구조는 대륙과 본질적으로 다르다. 대양해분의 성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아직 확정적인 것은 없다. 대양분지(大洋盆地)라고도 한다.

(한국지리정보연구회, 2006.5.25, 한울아카데미)

 

온난화 가속화, 북극곰 이어 황제펭귄도 위협

온난화 가속화, 북극곰 이어 황제펭귄도 위협

웨들해에 접한 남극 드로닝모드랜드의 아트카만에 서식하는 황제펭귄 무리의 모습. 온몸이 모두 회색인 펭귄들은 아직 덜 자란 개체들이다. 하네스 그로베, 크리에이티브 코먼스 제공

[지구와 환경] 기후변화 폐해 확산

점점 작아지는 바다얼음 위에 위태롭게 서있는 북극곰의 모습은 많은 사람들에게 기후변화의 위협을 상징하는 대표적 이미지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반대편의 남극 생태계에 가해지는 기후변화의 위협은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갈수록 가속화하는 온난화의 위협 앞에 남극 생태계만 예외일 수는 없다. 최근 북극의 북극곰에 해당하는 남극의 황제펭귄이 머지않아 북극곰과 비슷한 처지에 놓일 것임을 경고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귀 주위에서 짙게 시작돼 목과 가슴까지 엷게 물들인 황금빛 깃털과 평균 키 1.2m·몸무게 35㎏의 당당한 몸체가 특징인 황제펭귄은 다큐멘터리나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자주 소개돼 남극 펭귄 가운데서도 대중한테 가장 친숙한 종이다. 지금까지 위성 관측 결과 황제펭귄은 남극 주변 45곳에서 60만 마리가량이 집단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세계적 해양연구소인 우즈홀해양학연구소의 스테파니 즈누브리에 박사가 이끈 국제 연구팀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2100년까지 세계의 45개 황제펭귄 집단에서 모두 개체수가 줄어들고, 이들 집단 가운데 3분의 2가량에서는 현재 개체수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이라고 최근 학계에 보고했다. 지난달 말 기후변화 관련 저명 학술저널인 <네이처 클라이밑 체인지>에 실은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세계 황제펭귄의 개체수가 향후 30년 동안 10%가량 증가한 뒤 줄어들기 시작해, 이번 세기 말까지 현재 수준에서 최소 19% 감소하리라고 예측했다. 60만 마리에 이르는 황제펭귄 개체수가 2100년이 되면 48만여 마리로 줄어든다는 의미다.

남극 주변 45곳서 60만마리 서식
바다얼음 감소와 급격한 변화로
세기말까지 개체수 19% 감소 전망
연구자들 “멸종위기종 지정해야”

펭귄 가운데서도 가장 추운 곳에 서식하는 황제펭귄 집단은 대부분 인간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워 직접 관찰이 쉽지 않다.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관찰해온 황제펭귄은 남극대륙 동남쪽 아델리에 랜드에 서식하는 집단이 유일하다. 연구진들은 이 황제펭귄 집단을 대상으로, 과거 50여년간의 관찰 자료와 45개 집단 서식지에 대한 위성 관측 자료, 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의 기후모델 등을 이용한 남극 바다얼음의 변화 전망 등을 바탕으로 이런 분석 결과를 얻어냈다.

황제펭귄 집단의 성장은 그들이 번식하고 새끼를 낳아 키우는 바다얼음의 상태에 크게 좌우된다. 각각의 집단이 오랫동안 적응해온 균형 잡힌 바다얼음 상태가 어떤 방향으로든 급격히 변화하는 것은 집단 유지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바다를 덮고 있는 얼음의 감소는 황제펭귄의 서식지 자체를 축소시킬 뿐 아니라 남극 먹이사슬의 기초인 크릴의 서식 조건을 악화시켜 황제펭귄의 먹잇감을 줄어들게 만든다.

바다얼음의 증가도 황제펭귄한테는 반가운 일이 아니다. 실제 남극의 바다얼음은 지구 온난화에 따라 장기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리라 예상되지만, 단기적으로는 지역에 따라 증가하기도 한다. 바다를 덮고 있는 얼음이 늘어나면 부모 펭귄은 먹이를 구할 수 있는 바다까지 더 먼거리를 뒤뚱거리며 오가야해 추위와 바람에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는 성체의 생존률과 새끼한테 먹이를 공급하는 빈도를 떨어뜨려 양육 성공률을 낮추는 쪽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구진이 기후변화 모델을 적용해보니, 황제펭귄 서식지 가운데 남극의 동부 웨델해에서부터 서부 인도양 사이에 위치한 황제펭귄 서식지에서 특히 바다얼음이 많이 줄어들고 변동성도 클 것으로 나타났다. 켐프 랜드에서 아델리에 랜드 사이의 북쪽에 있는 황제펭귄 집단은 규모가 50%까지 줄어드는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되고, 남위 70도선에서 적도 방향 쪽 서식지에 근거를 둔 집단은 2100년까지 90% 이상 줄어들 수도 있으리라고 예측됐다.

황제펭귄 서식지 가운데 바다얼음의 변화가 가장 적을 것으로 예측된 곳은 로스해 주변의 서식지다. 뉴질랜드 아래쪽에서 남극 대륙 안으로 깊숙이 들어가 있는 로스해는 지구의 마지막 원시바다로 불릴만큼 남극해 가운데서도 생태계가 잘 보전돼 있기로 손꼽히는 곳이다. 이곳에는 세계 황제펭귄의 26%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 다른 황제펭귄 집단과 달리 로스해 주변에 서식하는 황제펭귄 집단의 개체수는 2100년까지 오히려 증가하며 다른 서식지에서의 개체수 감소를 상당 부분 상쇄해 줄 것이란 것이 연구자들의 진단이다. 하지만 로스해도 안전지대는 아니다.

이 연구를 이끈 스테파니 즈누브리에 박사는 우즈홀 해양학연구소가 배포한 연구 결과 설명 자료에서 “바다얼음이 아이피시시의 기후모델에서 전망된 것과 같은 비율로 감소한다면 로스해에 있는 가장 남쪽의 서식지들도 21세기 말에는 황제펭귄들의 대피소가 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런 예측을 바탕으로 황제펭귄을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지만, 황제펭귄이 멸종위기종 지위에 오르는 데는 난점이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은 어떤 생물종이 3세대 안에 30% 감소하리라 예상될 때부터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분류하는 탓이다. 세계 황제펭귄의 개체수는 장기적(2100년)으로 볼 땐 19% 감소하지만, 앞으로 30여년 동안은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황제펭귄의 1세대가 대략 16년이므로 3세대 안인 2061년까지 황제펭귄 개체수가 적색목록의 멸종위기종 기준에 들어가기는 불가능한 셈이다.

연구자들은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적인 응답은 복잡하기 때문에,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개체수 기준은 황제펭귄 집단에서 예측된 것과 같은 장기적 감소 추세에 선행하는 일시적인 증가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황제펭귄을 미래 기후변화에 의해 위협받는 종의 상징적 사례로 삼아 멸종위기종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출처 :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648058.html
펭귄은 추운 극지방에서만 산다?

펭귄은 추운 극지방에서만 산다?

[펭귄에 관한 오해와 진실]

웨들해에 접한 남극 드로닝모드랜드의 아트카만에 서식하는 황제펭귄 무리의 모습. 온몸이 모두 회색인 펭귄들은 아직 덜 자란 개체들이다. 하네스 그로베, 크리에이티브 코먼스 제공

펭귄은 일생의 반을 물속에서 보내는 새다. 가장 큰 종은 성체의 평균 키가 1m가 넘는 황제펭귄이고, 가장 작은 종은 키가 40㎝ 안팎인 블루펭귄이다.

이들은 물속에서 활동하기 쉽도록 지느러미와 같은 형태로 진화한 날개로 하늘을 날듯이 물속을 헤엄치며 물고기·오징어·크릴 따위 수중 생물을 잡아먹고 산다. 펭귄이 남극과 같은 극지의 추운 기후에서 생존할 수 있는 건 공기층으로 채워져 보온재 구실을 하는 깃털과 같은 신체 구조뿐만 아니라 군집생활로 서로의 체온을 나눌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킨 덕분이라는 게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남극에서 겨울철 찬바람이 몰아칠 때 펭귄들은 종종 바람을 등지고 무리를 지은 뒤 가장 바깥쪽에서 찬 바람을 많이 받는 위치를 조금씩 교대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게 함께 살아가는 펭귄 군집은 젠투펭귄에서와 같이 100쌍 정도의 작은 것에서부터 킹펭귄, 친스트랩펭귄과 같이 수십만쌍에 이르는 큰 것도 있다.

펭귄은 짝짓기 시즌이 되면 일부일처로 짝을 지어 1~2개의 알을 낳아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품어 부화시킨다. 펭귄 가운데 황제펭귄은 예외적으로 암컷이 사냥을 하고 수컷이 알품기를 전담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남극 스노힐 섬에 서식하는 아기 황제펭귄 한 마리가 섬을 찾은 관광객들에게 가까이 다가와 마치 말이라도 걸려는 듯 올려다보고 있다. 이언 더피, 크리에이티브 코먼스 제공

극지 주변에 사는 펭귄은 바닷속에서는 상어나 범고래, 바다표범 등과 같은 포식자의 위협을 받지만 물 밖으로 나오면 특별한 포식자가 없는 상태에서 살아왔다. 그러다보니 남극을 찾는 탐험가나 관광객들을 두려워하기는커녕 호기심을 드러내며 다가서기도 한다. 연미복을 걸친 듯한 모습과 특유의 우스꽝스런 몸짓,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 덕에 사람들과 가장 먼 곳에 있으면서도 가장 친근한 동물의 하나가 됐다.

펭귄에 대해 가장 잘못 알려진 사실 가운데 하나는 펭귄이 추운 극지방에만 서식한다는 오해다. 펭귄은 남극 주변뿐 아니라 온대 기후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갈라파고스 펭귄처럼 적도 근처에 서식하는 종도 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출처 :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648124.html
우크라이나 ‘돌고래 일병 구하기’

우크라이나 ‘돌고래 일병 구하기’

해군 정찰·수색용 돌고래 특공대
크림반도 병합이후 러시아에 편입
우크라 반환 요구에도 러 “못준다”

“전투 돌고래 대원들을 돌려달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빼앗긴 크림반도에서 양성 중이던 전투 돌고래 부대원들의 반환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러시아는 일축하고 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 세바스토폴의 한 해군 기지에서 전투 돌고래를 ‘비밀 병기’로 훈련시켜왔다. 하지만 러시아는 지난 3월 크림반도 합병 뒤 이들을 돌려주지 않고 자국 해군에 편입시켰다. 이들은 지금 세바스토폴 인근의 한 수족관에 머물고 있다고 영국 <가디언>이 6일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 세바스토폴의 한 해군 기지에서 전투 돌고래를 ‘비밀 병기’로 훈련시켜왔다. 하지만, 러시아는 지난 3월 크림반도 합병 뒤 이들을 돌려주지 않고 자국 해군에 편입시켰다. 이들은 지금 세바스토폴 인근의 한 수족관에 머물고 있다고 영국 이 6일 보도했다. 가디언 홈페이지 캡쳐

우크라이나에선 특히 크림반도에 인접한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 헤니체스크시가 돌고래 부대 반환 운동의 선봉에 서 있다. 헤니체스크시는 지난달 돌고래들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 24m, 깊이 5m짜리 대형 수족관까지 만들어 놓고 돌고래 대원들의 귀환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고 미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가 최근 전했다.

전투 돌고래 양성의 역사는 냉전 시기인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옛소련은 똑똑한 돌고래를 훈련시켜 해저 정찰과 수색, 적 잠수함 포착 등의 임무를 적군 모르게 수행하게끔 하는 계획을 세웠다. 헬리콥터로 목표 해상에 내려주고 수중 기뢰를 탐지하게 하거나 머리에 사격 장치나 폭탄을 달아 목표물을 직접 공격하게 하는 등의 훈련 프로그램도 포함됐다.

전투용 목적으로 훈련되고 있는 돌고래 부대/뉴시스
옛소련 붕괴 뒤 1995년 독립한 우크라이나 해군의 통제 아래 들어가면서 돌고래 부대도 대폭 축소됐다. 우크라이나는 2000년 일부 돌고래와 장비 등을 이란에 매각했으며, 올해부턴 부대를 해체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소련 붕괴 직후 30마리에 이르렀던 돌고래 대원 수도 크림반도 합병 땐 7마리로 크게 줄어 있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세바스토폴에 있는 해군 기지 수족관에서 지난 3월30일 한 ‘전투 돌고래’가 특수 훈련의 하나인 공 다루기를 하고 있다. 세바스토폴/EPA 연합뉴스

미국도 1950년대부터 샌디에이고 해군 기지에서 돌고래와 바다사자를 군사용으로 양성해 왔다. 다만, 미 해군은 2012년 “전투 돌고래를 대체할 무인 로봇을 개발 중이며, 2017년께 실전 배치될 것”이라고 ‘돌고래 부대’의 해체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출처:한겨레)